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음악치유]자폐와 음악치료(2)
사나이로
2007. 1. 5. 16:59
3. 역학
좁은 의미에서의 자폐장애는 이제까지 보고된 바로는 10000명중 2에서 4명 (Lotter 1966, Gillbeig 등 1990) 로 생각할수도 있으나 자폐증과 유사한 여러종류의 전반적 발달 장애아를 포함하고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개념을 사용하고 정신지체아중에서 자폐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을 포함한다면 10000명중 10에서 20명까지 된다.(Wing & Gould 1979, Gillberg 등 1986) 또한 자폐증의 발생률은 인종과 도시지방간의 구별이 없고 남녀비율에 있어서 3~5:1의 비율(Zahner & Paul 1987)을 나타내고 있다. 남아가 두배이상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있는 것은 최근에 허약 x염색체 증후군의 상당수가 자폐아동이고 따라서 x염색체가 하나인 남아에게 있어서는 발현율이 높을수 있다.
4. 자폐아동의 생애와 예후
1)학령기
학령기가 되면 자폐아동들도 사회성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부모에 대한 애착이 나타난다. 그러나 자폐아동들의 애착행동이 매우 부분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자기필요성에 의해 이용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언어가 시작될 초기에는 반향음이 사용되지만 점차적으로 스스로 하는 적절한 언어사용과 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의사소통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2)청소년기
청소년기에는 사춘기와 더불어 상당한 변화가 오는데 일부 아동들은 상당한 호전을 보인다.(Kanner 등 1972, Gillberg 1984, Kobayashi 1991) 반면 10%에서 35%의 아동들은 심각한 퇴행현상이 보이고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여자 자폐청소년이 심각한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Rutter 1970) 또한 청소년이 되면서 나타나는 자위행위, 성시노출등 부적절한 행동들을 거침없이 여러사람들앞에서 하는 것 등이다. 20~30%는 청소년기 초기에 경련발작을 보인다. (Rutter 1970, Deykin & Mcmahon 1979)
3)성인기
Rutter (1970)의 연구에 의하면 14%의 자폐아동은 더 이상 사회성 결핍이 보이지 않고 15%에서 20%는 고용되어 일을 하고 있으나 아직도 일상생활에 있어 사회적 상황에 있어 부적절한 행동을 하고 있다.
5. 자폐의 4가지 장애영역
1)발달의 정도
신체적발달이나 인식능력 또는 사회심리 발달 상태에 있어 정상아동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영역이 있는가하면 어떤 특정한 영역에서는 심한 장애를 보일수 있다. 예를들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에는 심각한 어려움이 있으나 듣고 기억하거나 소근육 운동기술, 공간개념, 음악적기술은 정상일수 있다. 그리고 본능적반사나 지배적인 운동발달이 늦으며 자폐아중 25%는 경련증세를 나타낸다.
2)감각적 자극에 관한 반응
감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은 잘못된 감각조절, 상동적 자기반응행동인데 이것은 잘못된 감각조절로 인한 감각, 촉각, 빛, 소리 등의 거의 반응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반응한다. 예를들면 연필이 떨어지는 소리에 깜짝놀라며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반면 싸이렌같은 큰 소리에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자기반응행동으로 상체를 반복적으로 왔다갔다하거나 손을 반복해서 움직이고 눈앞에다 손가락을 바짝 갔다대고 바라보는 생동행동 등을 말한다.
3)언어능력 및 인식능력
자폐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심각한 혼란을 보인다. 아예 입을 다물거나 아무 의미없는 말을 중얼거리기도 한다. 예를들면 앵무새처럼 말을 반복하고 상동음을 소리낸다. 자폐아동의 언어기술이 점차 발달되어도 음색, 고저, 속도, 리듬, 엑센트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사회적 모방이 결여되고 문법이 불충실하며 지칭하는 대상을 바꾸는 것들이 그 특징이다. 자폐아동의 인식능력은 추상적인 행동이나 청각 또는 시각적 정보들을 인지하는 능력 또는 연결되는 사건들의 정보들을 조직하여 의미있는 형태로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4)사회 정서적 장애
자폐아동들은 사람이나 물건 그리고 사건에 대한 인식능력을 상실하는 증세를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자폐아동은 사람들과 기본적인 관계형성을 하는데 문제가 나타난다.
둘째 자폐아동은 종종 혼란된 정서적 행동을 나타내어 부적절한 감정을 드러내거나 전혀 감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셋째 자폐아동은 행동과 발달 지체되어 다른 사람들과 적절한 사회적인 관계를 맺을수 없다.
넷째 자폐아동은 매일의 생활의 습관적인 행동반경을 그대로 유지하여 이것이 변경될 경우 매우 불안하고 짜증을 낸다.
좁은 의미에서의 자폐장애는 이제까지 보고된 바로는 10000명중 2에서 4명 (Lotter 1966, Gillbeig 등 1990) 로 생각할수도 있으나 자폐증과 유사한 여러종류의 전반적 발달 장애아를 포함하고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개념을 사용하고 정신지체아중에서 자폐증상을 보이는 아이들을 포함한다면 10000명중 10에서 20명까지 된다.(Wing & Gould 1979, Gillberg 등 1986) 또한 자폐증의 발생률은 인종과 도시지방간의 구별이 없고 남녀비율에 있어서 3~5:1의 비율(Zahner & Paul 1987)을 나타내고 있다. 남아가 두배이상 많은 것으로 보고되어있는 것은 최근에 허약 x염색체 증후군의 상당수가 자폐아동이고 따라서 x염색체가 하나인 남아에게 있어서는 발현율이 높을수 있다.
4. 자폐아동의 생애와 예후
1)학령기
학령기가 되면 자폐아동들도 사회성 행동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부모에 대한 애착이 나타난다. 그러나 자폐아동들의 애착행동이 매우 부분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자기필요성에 의해 이용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언어가 시작될 초기에는 반향음이 사용되지만 점차적으로 스스로 하는 적절한 언어사용과 언어가 발달함에 따라 의사소통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2)청소년기
청소년기에는 사춘기와 더불어 상당한 변화가 오는데 일부 아동들은 상당한 호전을 보인다.(Kanner 등 1972, Gillberg 1984, Kobayashi 1991) 반면 10%에서 35%의 아동들은 심각한 퇴행현상이 보이고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여자 자폐청소년이 심각한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Rutter 1970) 또한 청소년이 되면서 나타나는 자위행위, 성시노출등 부적절한 행동들을 거침없이 여러사람들앞에서 하는 것 등이다. 20~30%는 청소년기 초기에 경련발작을 보인다. (Rutter 1970, Deykin & Mcmahon 1979)
3)성인기
Rutter (1970)의 연구에 의하면 14%의 자폐아동은 더 이상 사회성 결핍이 보이지 않고 15%에서 20%는 고용되어 일을 하고 있으나 아직도 일상생활에 있어 사회적 상황에 있어 부적절한 행동을 하고 있다.
5. 자폐의 4가지 장애영역
1)발달의 정도
신체적발달이나 인식능력 또는 사회심리 발달 상태에 있어 정상아동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영역이 있는가하면 어떤 특정한 영역에서는 심한 장애를 보일수 있다. 예를들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에는 심각한 어려움이 있으나 듣고 기억하거나 소근육 운동기술, 공간개념, 음악적기술은 정상일수 있다. 그리고 본능적반사나 지배적인 운동발달이 늦으며 자폐아중 25%는 경련증세를 나타낸다.
2)감각적 자극에 관한 반응
감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은 잘못된 감각조절, 상동적 자기반응행동인데 이것은 잘못된 감각조절로 인한 감각, 촉각, 빛, 소리 등의 거의 반응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반응한다. 예를들면 연필이 떨어지는 소리에 깜짝놀라며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반면 싸이렌같은 큰 소리에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자기반응행동으로 상체를 반복적으로 왔다갔다하거나 손을 반복해서 움직이고 눈앞에다 손가락을 바짝 갔다대고 바라보는 생동행동 등을 말한다.
3)언어능력 및 인식능력
자폐아동들은 의사소통의 심각한 혼란을 보인다. 아예 입을 다물거나 아무 의미없는 말을 중얼거리기도 한다. 예를들면 앵무새처럼 말을 반복하고 상동음을 소리낸다. 자폐아동의 언어기술이 점차 발달되어도 음색, 고저, 속도, 리듬, 엑센트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사회적 모방이 결여되고 문법이 불충실하며 지칭하는 대상을 바꾸는 것들이 그 특징이다. 자폐아동의 인식능력은 추상적인 행동이나 청각 또는 시각적 정보들을 인지하는 능력 또는 연결되는 사건들의 정보들을 조직하여 의미있는 형태로 구성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4)사회 정서적 장애
자폐아동들은 사람이나 물건 그리고 사건에 대한 인식능력을 상실하는 증세를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자폐아동은 사람들과 기본적인 관계형성을 하는데 문제가 나타난다.
둘째 자폐아동은 종종 혼란된 정서적 행동을 나타내어 부적절한 감정을 드러내거나 전혀 감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셋째 자폐아동은 행동과 발달 지체되어 다른 사람들과 적절한 사회적인 관계를 맺을수 없다.
넷째 자폐아동은 매일의 생활의 습관적인 행동반경을 그대로 유지하여 이것이 변경될 경우 매우 불안하고 짜증을 낸다.
출처 : 대명교회(大名*大明*大命)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