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음악치유]자폐와 음악치료(1)

사나이로 2007. 1. 5. 17:00
자폐와 음악치료


1.자폐증의 임상적 특징

kanner에 의하면 자폐증 아동의 행동적 특성은 3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자폐증의 아동들은 생의 초반부터 사람과 상황에 대하여 보통의 방법으로 관계를 맺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런 특성을 극단적 자폐적 홀로서기라 (autistic aloneness)라고 하였는데 이 아동들은 자기 이외의 어떠한 것들도 무시하거나 쳐다보지 않고 문을 닫아버리는 특성이 있다.예를 들면 부모가 오거나 가거나 아무런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또래아이들과도 아무런 접촉없이 자신만의 놀이를 계속하고 경쟁적인 게임에도 전혀 참여를 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의 그림이나 사진에는 관심을 보이는데 이것은 아마도 사진은 그들을 방해하거
나 관여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자폐아 11명중 8명은 언어가 있었으나 세아이는 전혀 언어가 없고 있더라도 의사소통 기능에 있어 별로 차이가 없었다. 스스로 단어나 문장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다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거나 문자를 그대로 반복하고 그 의미는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은 청각에 이상이 있는것들로 생각되었다.
셋째 이 자폐아동들은 누구에게도 방해되지않고 혼자 있으려는 욕구가 강하여 외부로 부터의 어떤 자극도 침입으로 받아들여져 심한 반응을 보인다. 예를들면 음식을 조기의 침입자로 생각하여 음식을 먹는데 심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큰 소음이나 움직이는 물체가 또 다른 침입자로 관주되어 심한 공포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심한 소음이나 반복적인 운동같은것들을 단조롭게 되풀이 하는수가 많다. 스스로 하는 활동이 매우 제한적이고 고집스러우며 동일성 유지에 대한 감각적 욕구가 강하다. 예를들면 일상생활이나 가구배치등의 조그마한 변화도 용납하지 못한다. 이러한 특성 외에도 자폐아동이 근본적으로 정신분열아동과 다르다고 주장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분열 아동들은 적어도 처음 몇 년간은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는 반면에 자폐아동들은 태어나자부터 자폐성향을 보였으며 외부로부터의 어떠한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의 대인관계에 있어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상 kanner의 논문에 있는 그대로를 기술하였으나 그후 후학들의 연구에 의해서 kanner의 관측과 추측중 그릇된 것이 몇가지 밝혀졌는데 첫째 3분의 2이상의 자폐아동들은 정상적인 지능보다 낮다. 둘째 자폐증이 중추신경계의 질병과 관계가 있다. 셋째 부모들의 냉랭한 강박적인 사람들이 아닌 자폐증 자체가 가진 것에대한 반응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동행동과 자기자극 행동이 희열을 맛보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행동의 반복이며 자극적인 행동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2. 자폐증의 원인

1) 가족 및 환경적 요소
자폐증을 연구하는 임상가나 정신분석적 접근을 주로하는 연구자들은 부모의 문제성과 환경적인 요소등에 관심을 돌리고 자폐증이 환경적 요소들에 의해 초래된다고 하였다. 예를들면 가족역동의 문제 (Reiser 1963) 부모의 무이식적 적개심과 거절적인 태도 (Bettelheim 1967)부모의 당혹감과 부모의 의사소통 명확성의 결여 (Goldfarb 등 1972)라고 보았다. 또한 자폐증이 극단적인 사회성 불안 때문이라고 기술하였고 (Tinbergen & Tinbergen 1972)자폐아동이 아주 어렸을때부터 비정상적 발달과 인지발달을 보였다 (Rosenthal 등 1990) 다만 최근에 DSM-Ⅲ-R에 새로운 추가진단이 된 반응성 애착장애가 임상적으로 자폐증과 간별하기 힘들고 그 일부가 쉽게 정상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반응성 애착장애간의 관계를 규명할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유전적 요소
자폐아동 형제, 자매중 2%에서 6%가 자폐아동으로 이것은 일반사람들보다 50배나 더 많다. (Rutter 1967. Tsai 등 1981. Ritvo 등 1989) 또한 자폐아동의 형제, 자매는 일반인구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지능을 보인다.(Minton 등 1982) 그리고 일란성 쌍생아 11명중 4명이 자폐증을 가진 반면 이란성 쌍생아 10쌍중 아무도 자폐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쌍둥이중 하나만이 자폐증에 걸렸을 때 뇌에 기질적 손상이 있는 유전적 요소를 지지하는 소견을 발표하였다. (Folstein & Rutter 1977) 염색체 이상이 자폐증의 원인이 될수있다는 주장은 허약 x염색체 증후군의 일부가 자폐증을 보인다는 연구보고에 기초를 둔 것이다. Young은 (1989) 여러연구소가 합동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자폐아동의 1~17%가 허약 x염색체 증후군을 갖고있고 허약 x증후군의 12.3%에서 자폐증을 보인다고 하였다.

3)신경해부학적, 신경병리학적요인
자폐아동의 특성과 의학적인 검사를 통하여 자폐아동은 뇌 기능상의 문제가 있고 이것은 기질적인 원인에 의해 초래된 것이라는 증명들이 많이 있다. 예를들면 자폐아동의 20%에서 30%는 경련성 질환 (간질)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Rutter 1985) 또한 쌍둥이 역학조사와 그 형제들과의 비교에서 자폐아동은 주산기, 즉 분만을 전후한 합병증이 정상군이나 형제들보다 더 많다. (Folstein & Rutter 1977, Steffenburg 등 1989) 30%에서 70%의 자폐아동들은 다양한 신경과적 비정상 소견을 보인다. (Demyer 등 1973, Tsai 등 1981) 예를들면 비정상적인 보행이나 자세, 사시, 무도형운동, 몸의 과도긴장 혹은 과소긴장, 어색함 등이 관찰되고 대뇌기저핵의 역기능을 시사하는 소견들이 있다.
일찍이 Damasio & Maurer (1978)의 연구에 의하면 자폐증은 아마도 변연계피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전두엽과 기저핵의 역기능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그들은 자폐아동이 보이는 많은 운동문제들이 기저핵의 기능이상으로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운동을 하며 언어 및 의사소통의 이상은 전두엽 손상에 의해 보여진다. 이와같이 신경해부학적 신경병리학적 소견에 관심을 둔 학자들은 자폐증이 뇌의 기질적인 역기능과 결손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뇌의 기질적 역기능은 일부 자폐증을 설명하기는 하나 자폐증이 모
든 것을 설명하기에는 불확실하다.

4)신경생리학적 요인
자폐증의 근본적인 문제가 대뇌피질의 역기능이라고 생각하는 그룹 (Prior & Bradshaw 1979)즉 자폐증은 우측대뇌반구가 우세하고 또한 언어의사소통과 인지적인 문제 그리고 자주발견되는 뇌파이상, 발전전위(ERP)의 P300부분이 정상에 비하여 매우 낮다. (Dawson 1983) 다른 그룹으로는 뇌간의 역기능 때문이라고 보는 그룹으로 Ornitz(1974)등에 의하면 자폐증은 감각적, 지각적 입력과 운동배출을 조절하는 능력의 이상 즉, 지각- 정보처리체계에 이상이 있고 이는 간뇌와 망상체 형성이상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 세 번째 그룹으로는 Courchesne(1987)과 Dawon & Lewy (1989)는 자폐아동은 아마도 대뇌피질과 변연계, 망상체의 형상의 이상으로 인하여 주의력과 집중에 문제가 있으며 이것이 대뇌피질과 대뇌피질 하부간의 조절 실패를 일으킨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유기적인 상호조절의 실패로 인하여 집중과정 정보처리 과정의 이상을 초래함으로써 인지적인 장애가 생기고 이와밀접한 언어와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교환의 문제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5) 생화학적 요인
생화학적 연구에서 일관성있게 발견되는 것은 자폐아동의 3분의 1이 세로토닌의 형당치가 증가되고 있다.(Anderson 등 1987) 그러나 이렇게 증가된 세로토닌의 혈당치는 다른 심한 정신지체아에서도 발견됨으로 세로토닌 혈중치가 자폐증의 원인인지는 아직 밝혀지고 있지않다.
출처 : 대명교회(大名*大明*大命)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